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지역예선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 기타 대회 펼치기 · 접기 ]
기타 대회
연도대회명출전 한국팀
2011. 122011 WCGEDG
2012. 1온게임넷 LoL InvitationalMiG, EDG, StarTale, Team OP
2012. 4나이스게임TV 배틀로얄NaJin e-mFire 외 9팀
2012. 8MLG 2012 Summer ArenaAzubu Blaze
2012. 8GIGABYTE StarsWar LeagueNaJin Shield, Xenics Storm
2012. 10나이스게임TV 용쟁호투IM, CJ Entus, RoMg, kt Rolster A, kt Rolster B
2012. 10World e-Sports Masters 2012IM
2012. 11IEF 2012MVP White, MVP Blue
2012. 11MLG 2012 Fall ChampionshipAzubu Blaze, NaJin Sword
2012. 11IPL 5Azubu Blaze
2012. 12IEM Season VII - CologneSKT T1 #1, CJ Entus
2013. 1GIGABYTE StarsWar League Season 2NaJin Sword, NaJin Shield, MVP White, SKT T1 #1
2013. 1IEM Season VII - KatowiceAzubu Blaze, Azubu Frost
2013. 1IEM Season VII - Sao PauloIM
2013. 3IEM Season VII - World ChampionshipCJ Blaze, CJ Frost, SKT T1 #1, IM
2013. 3MLG 2013 Winter Championshipkt Rolster B
2013. 62013 인천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kt Bullets
2013. 10IEF 2013Xenics Storm, SoNiC
2013. 11IEM Season VIII - SingaporeCJ Frost
2013. 112013 WCGCJ Blaze
2014. 3IEM Season VIII - World Championshipkt Bullets
2014. 12IEF 2014Xenics Storm, HUYA Tigers, IM, Prime Clan
2015. 3IEM Season IX - World ChampionshipGE Tigers, CJ Entus
2015. 11IEM Season X - San JoseJin Air Greenwings
2015. 12IEM Season X - CologneESC Ever
2016. 3IEM Season X - World ChampionshipSKT T1, ESC Ever
2016. 11IEM Season XI - OaklandLongzhu Gaming
2016. 12IEM Season XI - GyeonggiSamsung Galaxy, KONGDOO Monster
2017. 2IEM Season XI - World ChampionshipROX Tigers, KONGDOO Monster
2018. 8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지역예선, 본선)대한민국 대표팀
2020. 52020 Mid-Season CupT1, Gen.G, DragonX, DAMWON Gaming
2021. 9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대한민국 대표팀
2022. 9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NS Challengers, DK Challengers, T1 Challengers, Korean Streamer
2022. 11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대한민국 대표팀
2023. 9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NS Esports Academy, DK Challengers, DRX Challengers, HLE Challengers
2023. 9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평가전대한민국 대표팀
2023. 9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본선대한민국 대표팀
2023. 122023 한중일 e스포츠 대회대한민국 대표팀




1. 개요
2. 참가국 로스터
2.1. 동아시아
2.1.1. 대한민국
2.1.2. 중국
2.1.3. 일본
2.1.4. 중화 타이베이
2.1.5. 마카오
2.1.6. 홍콩
3. 경기 결과
3.1. 1경기 JPN : KOR
3.2. 2경기 KOR : MAC
3.3. 3경기 HKG : KOR
3.4. 4경기 TPE : KOR
3.5. 5경기 KOR : CHN
3.6. 6경기 KOR : JPN
3.7. 7경기 MAC : KOR
3.8. 8경기 KOR : HKG
3.9. 9경기 KOR : TPE
3.10. 10경기 CHN : KOR
3.11. 타이브레이커 1경기 KOR : CHN [1]
3.12. 타이브레이커 2경기 TPE : KOR
3.13. 전체 결과
3.13.1. 주요 기록
3.13.1.1. 펜타킬
3.13.1.2. 퍼펙트 게임


1. 개요[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e스포츠 종목의 리그 오브 레전드 국가대표의 지역예선의 결과를 설명하는 문서이다. 지역예선은 8.10버전의 패치를 사용한다. 또한 더블 라운드 로빈 형식으로 진행되며, 동점시 승자승 - 타이브레이커 순으로 진행된다. 타이브레이커는 3팀 이상 동점(각 팀간의 승-패가 같을 경우)일때 진행되며, 총 경기 시간이 길었던 두 팀이 1경기를 진행하고, 그 경기의 승자가 2경기로 진출해 3번째로 경기 시간이 길었던 팀과 맞붙는 형식으로 진행된다.[2]


2. 참가국 로스터[편집]



2.1. 동아시아[편집]



2.1.1. 대한민국[편집]


감독 : 최우범(Edgar)
코치 : 이재민(Zefa)
||


로스터에 대한 평가는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대한민국 항목 참조.


2.1.2. 중국[편집]


감독 : 지싱(Aaron)
파일:중국 국기.svg 2018 아시안게임 - 리그 오브 레전드
중국 대표팀 로스터
파일:Top_icon.png
TOP
파일:Jungle_icon.png
JGL
파일:Mid_icon.png
MID
파일:Bot_icon.png
ADC
파일:Support_icon.png
SPT
파일:Sub_icon.png
SUB
Letme
파일:RNG 로고 2017.svg
옌쥔쩌
Mlxg
파일:RNG 로고 2017.svg
류시위
xiye
파일:Team_WE.png
쑤한웨이
Uzi
파일:RNG 로고 2017.svg
지안즈하오
Ming
파일:RNG 로고 2017.svg
시썬밍
Meiko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톈예

RNG 멤버가 거의 그대로 나왔다. 미드는 시예가 뽑혔는데, 지난 올스타전에서 페이커를 이긴 폼을 보고 뽑은 듯. 사실 MSI 우승팀 미드인 샤오후가 충분히 뛰어난 미드지만, 중국 현지인 중에 팀 문제로 폼이 망해버린 아이콘을 제외하고 보면 시예가 샤오후보다 더 단독 캐리력이 뛰어나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런데 반대급부로 탑솔에서는 MSI 우승팀 탑솔러지만 개인 단위로는 중국 중상위권이라는 렛미를 그대로 뽑았기 때문에, 탑 캐리 비중이 높아지면 아니 바텀의 캐리비중이 낮아지기만 해도 다소 안일한 선발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있다.[3]


2.1.3. 일본[편집]


감독 : 코카 요시아키(Lillebelt)
파일:일본 국기.svg 2018 아시안게임 - 리그 오브 레전드
일본 대표팀 로스터
파일:Top_icon.png
TOP
파일:Jungle_icon.png
JGL
파일:Mid_icon.png
MID
파일:Bot_icon.png
ADC
파일:Support_icon.png
SPT
파일:Sub_icon.png
SUB
Evi
파일:DFM 로고 (2016-2022).svg
무라세 슌스케
Astarore

히라츠카 유타
Ceros
파일:DFM 로고 (2016-2022).svg
요시다 쿄헤이
YutoriMoyasi
파일:300px-PENTAGRAMlogo_square.png
노구치 유타
Enty
파일:Unsold_Stuff_Gaminglogo_square.png
타니오카 료세이
apaMEN
파일:Unsold_Stuff_Gaminglogo_square.png
오다기리 료

특이사항으로 정글러 Astarore 선수는 이미 은퇴한 선수이다. 아시안 게임은 자국 선수들로 선수단을 꾸려야 하는데 LJL은 한국인 정글러가 지배하는 리그여서 자국 정글러를 구하지 못한 듯. 이외에는 비교적 1~3위권 팀에서 잘하는 현지인들로 잘 뽑았다.


2.1.4. 중화 타이베이[편집]


감독 : 첸주치(WarHorse)
전술코치 : 천관팅(REFRA1N)
서브코치 : 채샹징(GreenTea)[4]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2018 아시안게임 - 리그 오브 레전드
중화 타이베이 대표팀 로스터
파일:Top_icon.png
TOP
파일:Jungle_icon.png
JGL
파일:Mid_icon.png
MID
파일:Bot_icon.png
ADC
파일:Support_icon.png
SPT
파일:Sub_icon.png
SUB
PK
파일:300px-G-Rexlogo_square.png
셰위팅
baybay
파일:300px-G-Rexlogo_square.png
왕유진
Maple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Flash_Wolves_logo.png
황이탕
Betty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Flash_Wolves_logo.png
루위홍
SwordArt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Flash_Wolves_logo.png
후숴제
Morning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Flash_Wolves_logo.png
천관팅

Karsa, FoFo가 선발되었던 2017 롤스타전에 비해 굉장히 약한 로스터라는 의견도 있으나, Pk라는 Ziv 이상의 강력한 탑솔 에이스가 합류했고 미드정글을 잘 부릴 역량이 있는 소드아트가 있기에 단판제의 대만을 무시할 수는 없는 로스터.


2.1.5. 마카오[편집]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2018 아시안게임 - 리그 오브 레전드
마카오 대표팀 로스터
파일:Top_icon.png
TOP
파일:Jungle_icon.png
JGL
파일:Mid_icon.png
MID
파일:Bot_icon.png
ADC
파일:Support_icon.png
SPT
파일:Sub_icon.png
SUB
JF
파일:130px-Ares_Gaminglogo_square.png
치오홍록
-
파일:-.png
-
-
파일:-.png
-
Corgi
파일:130px-ONE_SEVEN_EIGHTlogo_square.png
룽카킨
-
파일:-.png
-
-
파일:-.png
-


2.1.6. 홍콩[편집]


감독 : 커티스 라우(Toyz)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2018 아시안게임 - 리그 오브 레전드
홍콩 대표팀 로스터
파일:Top_icon.png
TOP
파일:Jungle_icon.png
JGL
파일:Mid_icon.png
MID
파일:Bot_icon.png
ADC
파일:Support_icon.png
SPT
파일:Sub_icon.png
SUB
Kabe
파일:300px-Triumphant_Song_Gaminglogo_square.png
칸호만
Avoidless
파일:Victorious_Gaminglogo_square.png
판준웨이
MoonBlack
파일:600px-Team_Afrologo_square.png
릉중흥
Unified
파일:Hong Kong Attitude.png
웡춘킷
KaiWing
파일:Hong Kong Attitude.png
링카이윙
Dennis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Kowloon_Esportslogo_square.png
데니스 라우

2017년 말이었다면 메이저 3지역에는 모자라도 굉장히 강력한 저력을 갖춘 로스터였겠으나, 신인 미드를 제외한 선수들의 커리어 혹은 폼이 2018년 다 급격한 하락세에 있다.


3. 경기 결과[편집]



3.1. 1경기 JPN : KOR[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동아시아 지역예선 1경기
파일:일본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JPNKOR
파일:camille_portrait.png 파일:graves_portrait.png 파일:irelia_portrait.png파일:zoe_portrait.png 파일:yasuo_portrait.png파일:rakan_portrait.png 파일:masterYi_portrait.png 파일:khazix_portrait.png파일:gangplank_portrait.png 파일:braum_portrait.png
파일:singed_portrait.png 파일:xinZhao_portrait.png 파일:karma_portrait.png 파일:kaisa_portrait.png 파일:alistar_portrait.png파일:ornn_portrait.png 파일:trundle_portrait.png 파일:lulu_portrait.png 파일:ezreal_portrait.png 파일:morgana _portrait.png


한마디로 압살. 그와 동시에 '아직 롤드컵에서 한일전은 기대하기 힘들다'는 인식을 확고히 했다.


3.2. 2경기 KOR : MAC[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동아시아 지역예선 2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KORMAC
파일:rakan_portrait.png 파일:blitzcrank_portrait.png 파일:irelia_portrait.png파일:morgana_portrait.png 파일:braum_portrait.png파일:kaisa_portrait.png 파일:ezreal_portrait.png 파일:graves_portrait.png파일:alistar_portrait.png 파일:tahmKench_portrait.png
파일:ornn_portrait.png 파일:trundle_portrait.png 파일:yasuo_portrait.png 파일:kogmaw_portrait.png 파일:nami_portrait.png파일:chogath_portrait.png 파일:xinZhao_portrait.png 파일:lulu_portrait.png 파일:xayah_portrait.png 파일:thresh _portrait.png


* 킬 스코어 17 vs 1
* 글로벌 골드 43.9 vs 27.4
* 바론 0 vs 0
* 드래곤 1vs1
* 억제기 1vs0
* 포탑 8vs0


3.3. 3경기 HKG : KOR[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동아시아 지역예선 3경기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3.4. 4경기 TPE : KOR[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동아시아 지역예선 4경기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PEKOR
파일:irelia_portrait.png 파일:olaf_portrait.png 파일:skarner_portrait.png파일:thresh_portrait.png 파일:alistar_portrait.png파일:rakan_portrait.png 파일:ornn_portrait.png 파일:khazix_portrait.png파일:morgana_portrait.png 파일:tahmKench_portrait.png
파일:singed_portrait.png 파일:graves_portrait.png 파일:lulu_portrait.png 파일:kaisa_portrait.png 파일:karma_portrait.png파일:gangplank_portrait.png 파일:trundle_portrait.png 파일:yasuo_portrait.png 파일:ezreal_portrait.png 파일:nami _portrait.png




3.5. 5경기 KOR : CHN[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동아시아 지역예선 5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중국 국기.sv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3.6. 6경기 KOR : JPN[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동아시아 지역예선 6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일본 국기.svg
103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KOR, redteam=JPN, d_blueban1=룰루, p_blueban1=lulu, d_blueban2=조이(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2=zoe, d_blueban3=그레이브즈, p_blueban3=graves, d_blueban4= 리 신 p_blueban4=heimerdinger, d_blueban5=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5=karma, d_redban1=카밀, p_redban1=camille, d_redban2=라칸, p_redban2=rakan, d_redban3=야스오, p_redban3=yasuo, d_redban4=카직스, p_redban4=khazix, d_redban5=트런들, p_redban5=trundle, d_bluepic1=쉔, p_bluepic1=shen, d_bluepic2=마스터 이, p_bluepic2=master
Yi, d_bluepic3=타릭, p_bluepic3=taric, d_bluepic4=카이사, p_bluepic4=kaisa, d_bluepic5=브라움, p_bluepic5=braum, d_redpic1=오른, p_redpic1=ornn, d_redpic2=신 짜오, p_redpic2=xinZhao, d_redpic3=블라디미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3=vladimir, d_redpic4=이즈리얼, p_redpic4=ezreal, d_redpic5=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5=morgana )]

마스터 이 / 타릭의 마타 조합이 공식 경기에서 최초로 등장하였다.


3.7. 7경기 MAC : KOR[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동아시아 지역예선 7경기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ACKOR
파일:rakan_portrait.png 파일:masterYi_portrait.png 파일:ezreal_portrait.png파일:kogmaw_portrait.png 파일:caitlyn_portrait.png파일:blitzcrank_portrait.png 파일:graves_portrait.png 파일:kaisa_portrait.png파일:alistar_portrait.png 파일:varus_portrait.png
파일:irelia_portrait.png 파일:camille_portrait.png 파일:yasuo_portrait.png 파일:ashe_portrait.png 파일:tahmKench_portrait.png파일:ornn_portrait.png 파일:trundle_portrait.png 파일:jax_portrait.png 파일:jhin_portrait.png 파일:karma _portrait.png




3.8. 8경기 KOR : HKG[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동아시아 지역예선 8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3.9. 9경기 KOR : TPE[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동아시아 지역예선 9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파일:_portrait.png




3.10. 10경기 CHN : KOR[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동아시아 지역예선 10경기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NKOR
파일:skarner_portrait.png 파일:yasuo_portrait.png 파일:lulu_portrait.png파일:taliyah_portrait.png 파일:trundle_portrait.png파일:karma_portrait.png 파일:kaisa_portrait.png 파일:morgana_portrait.png파일:graves_portrait.png 파일:xinZhao_portrait.png
파일:ornn_portrait.png 파일:leeSin_portrait.png 파일:irelia_portrait.png 파일:ezreal_portrait.png 파일:janna_portrait.png파일:camille_portrait.png 파일:olaf_portrait.png 파일:singed_portrait.png 파일:xayah_portrait.png 파일:rakan _portrait.png




3.11. 타이브레이커 1경기 KOR : CHN [5][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동아시아 TBG 1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중국 국기.svg
KORCHN
파일:karma_portrait.png 파일:irelia_portrait.png 파일:rakan_portrait.png파일:janna_portrait.png 파일:soraka_portrait.png파일:skarner_portrait.png 파일:yasuo_portrait.png 파일:lulu_portrait.png파일:malzahar_portrait.png 파일:sejuani_portrait.png
파일:shen_portrait.png 파일:camille_portrait.png 파일:galio_portrait.png 파일:kaisa_portrait.png 파일:braum_portrait.png파일:ornn_portrait.png 파일:khazix_portrait.png 파일:zoe_portrait.png 파일:ezreal_portrait.png 파일:morgana _portrait.png




3.12. 타이브레이커 2경기 TPE : KOR[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동아시아 TBG 2경기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PEKOR
파일:camille_portrait.png 파일:irelia_portrait.png 파일:karma_portrait.png파일:xayah_portrait.png 파일:shen_portrait.png파일:kaisa_portrait.png 파일:lulu_portrait.png 파일:singed_portrait.png파일:vladimir_portrait.png 파일:galio_portrait.png
파일:ornn_portrait.png 파일:trundle_portrait.png 파일:azir_portrait.png 파일:ezreal_portrait.png 파일:morgana_portrait.png파일:gangplank_portrait.png 파일:skarner_portrait.png 파일:yasuo_portrait.png 파일:kogmaw_portrait.png 파일:rakan _portrait.png




3.13. 전체 결과[편집]


'''{{{#ffffff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동아시아 지역예선 최종 순위}}}'''
순위국가 명본선
1대한민국102진출
2중화 타이베이83진출
3중국83진출
4홍콩46탈락
5마카오19탈락
6일본19탈락


3.13.1. 주요 기록[편집]



3.13.1.1. 펜타킬[편집]

이름(ID)소속 팀포지션챔피언상대 팀일자경기
박재혁(Ruler)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Bot_icon.png
ADC
파일:kaisa_portrait.png파일:일본 국기.svg2018.06.09지역예선 2R
KOR : JPN


3.13.1.2. 퍼펙트 게임[편집]

[1] 경기 시간이 짧았던 중화 테이베이는 바로 2경기로 진출한다.[2] 다만 한국팀이 재경기까지 통해 1위로 진출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본선 조추첨은 본선에 진출한 8개의 팀을 무작위로 추첨(..)했기 때문에 재경기를 한 의미가 없었다.[3] 한국과 서양, 중국 현지 가리지 않고 많은 팬들이 Snake Esports의 에이스인 플랑드레가 선발될 것이라 예상했고 그런 찌라시들이 많이 돌았는데 아니었다.[4] 현 MAD Team 코치[5] 경기 시간이 짧았던 중화 테이베이는 바로 2경기로 진출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0:13:13에 나무위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지역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